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

블렌더에서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 조절하기 / Camera Focus Camera > Depth of Field 체크 > Distance 수치값을 조절  혹은 내 화면의 캡쳐처럼 특정오브젝트에 포커스를 맞추도록 설정할수도 있다.화면에 포커스되었으면 하는 오브젝트를 클릭하거나 혹은 empty 오브젝트를 하나 생성후 Foucus Object로 설정해두면 매번 새로운 오브젝트로 포커스를 맞춰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서 좋다! 아래는 피사계심도 관련 정리가 아주 잘 되어있는 유툽 영상!https://youtu.be/SIvwdQ0_2zE?si=xm3cBn7wCKj8eEGB 2024. 12. 11.
블렌더 카메라에서 먼 곳의 오브젝트가 잘릴때 해결법 0번을 눌러 셋팅된 카메라 뷰를 체크중, 이렇게 거리가 먼 곳의 오브젝트가 잘려보이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럴때는 카메라의 End값을 늘려주면 해결된다!   이렇게 카메라에 다시 정상적으로 오브젝트가 보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24. 12. 11.
블렌더에서 유체 시뮬레이션 중 베이크(Bake All)버튼이 안보일 때 / Fluid 캐시 카테고리에 베이크 (Bake) 버튼이 보이지 않는다.   이럴때는 Type 을 Replay > All 로 바꿔주면 다시 베이크 버튼이 생기는것을 볼 수 있다. 2024. 12. 11.
블렌더에서 노말(normals) 방향 확인하기, 뒤집힌 노말 체크하기 블렌더를 하다보면 노말방향을 확인해야할때가 종종 있다. (면 뒤집힘 체크, 시뮬레이션 etc) 특히 면이 뒤집힌 채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들고가면 그 면은 뻥 뚫린것처럼 나오기 때문에특정 확장자로 프로그램간에 왔다갔다하며 작업을 해야할 경우에는 노말방향 체크는 필수이다. 노말방향을 체크하는 몇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Edit Mode > Overlays > Face Orientation Face Orientation 을 클릭하면 이렇게 푸른색으로 면이 채워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뒤집힌 면들은 붉은색으로 표시된다. (무언가 잘못되었음이 아주 직관적으로 느껴진다)  이럴때는 침착하게 뒤집힌 면을 클릭하고 Mesh > Normals > Flip 을 해주면 다시 올블루의 모습을 볼 수 있.. 2024. 12. 11.
블렌더에서 크리즈(crease) 적용 시키기 요렇게 생긴 기본 정육면체에 Subdivision surface 모디파이어를 적용시키면  면 갯수가 늘어나면서 각 모서리들이 둥글어진다.  늘어나는 면 갯수는 Level Viewport 의 설정값에 따라 달라짐.  여기서 나는 특정모서리 or 면의 각을 좀더 살리고 싶다거나 전체적으로 너무 뭉개지는 것 같아서 각을 이븐하게 좀더 살리고 싶다! 할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크리즈 (crease) 기능이다.  예시로 한 면에만 크리즈 기능을 수치별로 적용해보겠다.   특정 면을 선택한 뒤 단축키 Shift + E 를 눌러주면 이렇게 선택한영역에 보라색 엣지가 잡히게 된다.이 엣지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주면 적용된 수치값이 변하고 그 수치값에따라 색의 농도도 달라진다.  좀더 정확한 적용을 원한다.. 2024. 12. 3.
블렌더에서 엑스레이 (x-ray) 모드 활용하기 뷰포트에서 이렇게 드래그로 직육면체 전체를 드래그 한 것 처럼 보이지만   드래그는 현재 뷰포트에서 보이는 영역만 선택을 하기 때문에 반대로 화면을 돌려보면 이렇게 선택되지 않은 면이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때 드래그로 버텍스나, 엣지, 페이스를 한꺼번에 쉽게 선택하려면 x-ray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단축키는 Arl + z  엑스레이 모드에서 드래그를 해보면  이렇게 화면상의 반대쪽에있던 면까지 함께 깔끔하게 영역이 선택된것을 볼 수 있다! 2024. 12.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