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렌더 blender69 블렌더에서 노말(normals) 방향 확인하기, 뒤집힌 노말 체크하기 블렌더를 하다보면 노말방향을 확인해야할때가 종종 있다. (면 뒤집힘 체크, 시뮬레이션 etc) 특히 면이 뒤집힌 채로 다른 프로그램으로 들고가면 그 면은 뻥 뚫린것처럼 나오기 때문에특정 확장자로 프로그램간에 왔다갔다하며 작업을 해야할 경우에는 노말방향 체크는 필수이다. 노말방향을 체크하는 몇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Edit Mode > Overlays > Face Orientation Face Orientation 을 클릭하면 이렇게 푸른색으로 면이 채워진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뒤집힌 면들은 붉은색으로 표시된다. (무언가 잘못되었음이 아주 직관적으로 느껴진다) 이럴때는 침착하게 뒤집힌 면을 클릭하고 Mesh > Normals > Flip 을 해주면 다시 올블루의 모습을 볼 수 있.. 2024. 12. 11. 블렌더에서 크리즈(crease) 적용 시키기 요렇게 생긴 기본 정육면체에 Subdivision surface 모디파이어를 적용시키면 면 갯수가 늘어나면서 각 모서리들이 둥글어진다. 늘어나는 면 갯수는 Level Viewport 의 설정값에 따라 달라짐. 여기서 나는 특정모서리 or 면의 각을 좀더 살리고 싶다거나 전체적으로 너무 뭉개지는 것 같아서 각을 이븐하게 좀더 살리고 싶다! 할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크리즈 (crease) 기능이다. 예시로 한 면에만 크리즈 기능을 수치별로 적용해보겠다. 특정 면을 선택한 뒤 단축키 Shift + E 를 눌러주면 이렇게 선택한영역에 보라색 엣지가 잡히게 된다.이 엣지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마우스를 움직여주면 적용된 수치값이 변하고 그 수치값에따라 색의 농도도 달라진다. 좀더 정확한 적용을 원한다.. 2024. 12. 3. 블렌더에서 엑스레이 (x-ray) 모드 활용하기 뷰포트에서 이렇게 드래그로 직육면체 전체를 드래그 한 것 처럼 보이지만 드래그는 현재 뷰포트에서 보이는 영역만 선택을 하기 때문에 반대로 화면을 돌려보면 이렇게 선택되지 않은 면이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럴때 드래그로 버텍스나, 엣지, 페이스를 한꺼번에 쉽게 선택하려면 x-ray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다. 단축키는 Arl + z 엑스레이 모드에서 드래그를 해보면 이렇게 화면상의 반대쪽에있던 면까지 함께 깔끔하게 영역이 선택된것을 볼 수 있다! 2024. 12. 3. 블렌더에서 애니메이션 렌더 안될때 해결방법 / Blender Animation Render Issue 간단한 지오메트리 노드 튜토리얼을 보고 완성시킨 작업물을 렌더링하려고 하는데 렌더화면에 아무것도 안잡히는 이슈가 발생했다. 신기한건, 애니메이션 렌더가 아닌 이미지렌더를 걸면 제대로 나온다는것 해결법은 의외로 간단했는데, 위 상태로 다시 변경해주니 애니메이션 렌더링이 정상작동했다! 해상도가 규격외로 설정되어있을때 이런 이슈가 발생하는건가? 무튼 해결! 2024. 12. 3. 블렌더에서 찰랑거리는 물 만들기 (1) (feat. 디오라마) 앞선 포스팅에서 찰랑거리는 바닷물 디오라마를 만들기위해 유체 시뮬레이션을 해보았는데..만들다보니 ocean modifier 라는 직관적이고 아주 편리한 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게됐다! 그래.. 이런 찰랑거리고 그 아래에 물 그림자가 지는 청량한 느낌!! 물론 깊은 바다에선 볼 수 없는 현상이지만 시적 허용이 있듯 미감적 허용을 위해 위의 효과를 블렌더에서 내보기로 했다! 우선 엔진을 EEVEE 에서 Cycles 로 바꿔준다. 물을 담을 공간이 있는 박스도 어느정도 투명한 재질에 푸른색이 살짝 돌게 맞춰준 다음그 위에 플랜을 생성해서 ocean modify를 걸어준다. 다만, 측면에서 봤을때도 입체적이고 볼륨감이 살아있는 디테일을 주기엔 1프로 부족하다. 그래서 생각해낸 아이디어는 유체 시뮬을 이.. 2024. 12. 2. 블렌더에서 유체 시뮬레이션(Liquid) 안될 때 해결하기 오랜만에 다시 쓰는 블린이의 고행서사.. 오늘은 블렌더에서 유체 시뮬레이션을 도전중인데 아니나다를까 시작과 동시에 바로 막혀버렸다. 이런 디오라마같은 느낌의 작업물을 만들고 있던 도중.. 나는 불현듯 저 바닥의 물을 찰랑거리게 하고 싶어졌다. 블렌더 유체 시뮬레이션이라는 기능이 있는것을 알고 바로 튜토리얼을 보고 적용을 해보았지만..왜인지 유체가 나오지않았다. 프로그램은 거짓말을 하지않기에 분명히 어떤 입력이 잘못되었다는건데그 잘못된 입력값이 무엇인지 찾기가 어려웠다 ㅠ나는 환경값을 리셋시키고.. 심호흡을 하며.. 천천히 다시 진행했다. (굳세어라 블린) 먼저 물이 담겨질 영역이 될 큐브 하나를 준비한다. 큐브의 설정값은 이러했다. 수도꼭지 역할이 되어줄 스페어의 설정값은 이러했다. 과연.. 2024. 12. 1.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